해고예고수당이란 근로자를 해고 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해고를 예고하거나,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않으면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과 동일한 기준으로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보통 해고예고수당이 대부분의 아르바이트들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는 것으로 알거나 또는 알아도 30일이 아닌 그 보다 적은 일수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어떻게 하면 파리목숨 같은 알바생들도 30일 이상의 해고예고수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알아보겠다. 1. 사업주의 일방적 해고 통고 사업주의 일방적 해고 통고는 부당해고로 해당되며 몇 개월간 계약을 맺은 근로자는 일방적으로 해고를 하면 안 된다. 단 알바생이 매일 근로계약서를 쓰고 도장을 찍는 일당제였다면 해고는 가능하다. 또 전체 직원이 4명까지 있다고 하면..
공정거래위원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2018년 20조원 규모였던 배달시장 규모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로 비대면 소비가 일상으로 자리 잡혀 지속적으로 성장한다고 밝혔습니다. 그 여파로 배달 앱을 기반으로 한 배달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배달원들이 ‘귀한 몸’이 되고 있죠. 넘치는 주문량을 감당하기 위해선 배달원 확보가 우선적이기 때문입니다. 장마와 무더위가 번갈아 닥치는 날엔 배달원을 구하기 어려워 업체에서도 각종 인센티브를 강화하면서 모시기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처럼 배달원들의 몸 값이 많이 오른다해도 쿠팡맨과 택배기사가 실제로 가져가는 돈은 차이가 많이 납니다. 이것은 쿠팡맨과 택배기사의 구조적인 차이 때문입니다. 1. 쿠팡맨 장점과 월급 쿠팡맨들은 회사소속이라 정해진 급여가 있는데 실수령액이 보통 2..
아시다시피 경제난으로 취업난은 쉽사리 좋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2020년에는 코로나19가 덮치자 경제의 하락세가 멈춰지지 않으면서 취업은 고사하고 실업률이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 큰 문제는 취업이 되지 않은 많은 청년들은 빈곤에 시달리면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취업도 힘든 시기에 1억원 정도의 고액의 연봉을 받고 있는 20대 청년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20대 청년의 직업이 어떤 것인데 첫 직장에서 연봉이 1억원이나 되는 돈 많이 버는 직업일까요? 현재의 나이가 40~50대 정도의 중년이라면 아버지께서 원양어선을 타셨던 분이 있으실 겁니다. 배를 타고 나가셨던 아버지는 몇 개월에서 아니면 2년에서 3년 정도 후에 집에 돌아오셨죠. 그런데 한 ..
2020년 12월 21일, 광양항에 기름띠가 넓게 퍼져 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여수해경은 선박 폐유를 몰래 버리고 항행한 예인선(200톤급, 한국선적) 기관사A씨(남자, 67세)를 해양환경관리법 위반협의로 붙잡아 조사를 하던 중 유출흔적을 확인하고 사건 일체를 자백 받았습니다. 이렇게 오염된 기름을 바다에 버려 해양을 오염시킨다면 해양환경관리법에 따라 최대 징역 5년에 벌금 5,000만원 이하의 처벌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이를 신고하는 신고자에게도 최대 3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신고 포상금 제도는 각종 법률을 위반한 자를 행정기관에 신고하거나 수사기관에 고발하여 위법사항이 확인된다면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평소 우리가 신경을 쓰지 않아 포상금 제도에 대해..
국보인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병(靑 鐵彩銅彩草蟲文甁)은 곧게 뻗은 목과 둥근 곡선의 몸체가 빼어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조선백자에서 선보인 모든 안료가 사용되어 문양이 다 채롭게 구현된 명품 중의 명품이다. 이 유물은 1936년 간송 전형필 선생이 일본인들을 제치고 거금을 들여 입수한 것으로 고미술계에서는 걸작으로 오랜 기간 유명했다. 원로 미술사학자 혜곡 최순우 선생은 “비교할 만한 대상이 없다”고 예찬했다. 조선백자 중 가장 뛰어난 미를 보여 준 작품이다. 사실 이 백자에는 웃지 못할 사연이 있다. 1920년대 경기도 팔당 인근에서 고기잡이를 하고, 봄나물과 참기름을 팔아 생계를 잇던 노 부부가 있었다. 어느 날 할머니가 야산에서 나물을 캐다가 흰색 병을 발견 했다. 목이 길어 참기름을 담기에 안성..
고금리·고물가 흐름 속에 전기료를 비롯한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될 전망이다. 그래서 2023년의 살림살이는 더욱 팍팍해 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2023년 1분기에 전기요금을 ㎾h(킬로와트시)당 13.1원 인상한다고 30일 발표했는데 올 한해 전기요금 인상액인 ㎾h당 19.3원의 약 68%에 해당하는 것으로 역대 최대 인상폭이다. 전기요금 인상배경 이창양 산업부 장관의 말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지난 5년간 저원가 발전원인 원전이 축소되고 액화천연가스(LNG) 등 원가가 높고 연료비 변동 리스크에 취약한 발전원 비중이 증가된 상황에서 국제 연료가격이 3~4배 폭등, 한전의 적자가 계속 심해져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했다. 전기요금 인상폭 이번 전기요금 조정으로 평균적인 4인 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