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계 개편의 방향과 방법을 쉽게 정리한 가이드북이 발간됐다.올해 정년 60세 의무화 시행되면서 LG이노텍, SK하이닉스, 르노삼성 등 대기업 생산직 부문에서 임금체계 개편이 이뤄졌지만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http://www.inewspeo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93 정년 60세라~~ 그런데 이 표를 보면 아직도 우리나라는 나이 50전에 회사에서 퇴출된다. 그리고 정년 60세로 했다고는 하지만 길에 나가봐라 60세는 진짜 청춘이다. 그냥 40대와 같은 젊음을 유지하고 있는 사람이 아마 60%는 될것이다. 그런데 일할 곳이 없다. 몸은 젊고 소비는 해야 하는데 돈을 벌곳이 없다. 이 늙은 젊은이? 들은 앞으로 커다란 사회문..
제주 관광공사에서 크루즈 승무원 취업설명회를 실시합니다. http://asiacruiseforum.com/
한국공항공사에서 2016년 경력직을 채용합니다. 건축분야에서도 채용을 하는데 건설실무 경력이 7년 이상인 자로서 건축기사 자격증이 꼭 필요합니다.
서류전형에서 인사담당자들이 최우선으로 보는 것은 "인턴등 실무경력"이다 그 다음으로는 전공, 자격증, 외국어 회화능력 등이다. 서류전형 부터 실무경험의 유무를 확인한다는 이야기인데, 이를 기본으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야 한다. 나를 채용해달라고 인사담당자를 설득시켜야 한다. 입장을 서로 바뀐 입장이라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기가 훨씬 수월해 질것이다. 어차피 사람이 사람을 채용하는 것이다. 잘 생각해보면 무엇이 핵심인지 알게 될것이다.
10월 1일 치르는 올해 지방공무원 7급 공개경쟁신규임용시험 원서접수 결과 평균 경쟁률이 122:1로 집계됐다.16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부산 등 16개 시도(서울 제외)에서 총 275명을 선발하는 2016년도 지방공무원 7급 공채에 3만 3548명이 지원했다. http://news.joins.com/article/20455794?cloc=rss|news|home_list 공무원이 참으로 인기가 많다. 공무원이 이렇게 인기가 많은 이유가 뭘까? 쉽게 말하면 먹고 살려고 하는 거지 뭐 있나? 일반 대기업에는 들어가기도 어렵고, 만약에 합격 했었도 그 수명이 너무 짧기 때문에 정년까지 보장되는 공무원이 인기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학생들은 졸업하면서 공무원 시험을 보는게 기본이 되었다. 몇 십년 전만..
서울대에 합격했는데도 입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매년 30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자연계열 학과에 합격하고도 포기한 학생들이 대다수였다. http://news.mk.co.kr/newsRead.php?rss=Y≻=40300001&year=2016&no=578894 자연계열은 포기하고 치대,의대,한의대로 간다고 하는데 말입니다. 특히 공대에서 입학포기생이 계속 늘고 있다고 합니다. 공대라면 건축, 토목 이런 계통 아닙니까? 옛날 고서에 보면 장인 즉 기술 계통의 장인들을 무시하면 나라가 발전이 되지 않는다고 나왔는데 지금 우리나라가 그런 꼴 같습니다. 아십니까? 요새 공무원 되려고 시험보는 학생들이 엄청나게 많다는 거~~ 대기업에는 들어가기도 어렵고 들어간다고 해도 수명이 짧아서 정년을 보장해주는 ..